| 
 | 데이터사이언스학과 |       | 
| Department of Data Science | ||
| 퓨전테크센터(FTC) 503호 | |
| Tel. 02)2220-2341 |       | 
| 
 | |
1. 교육목표
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인지과학, 인공지능, VR/AR 등 미래산업의 핵심기술 및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설립된 데이터사이언스학부의 전임교수들과 타과교수들이 겸직으로 참여하는 통합연구실 (Imagine x Lab)에서 진행된다. 데이터사이언스학과에서 습득하는 핵심기술은, 기계학습, 딥러닝, 알고리즘, 인지과학, 인지심리학, 뇌과학, 추론, VR/AR 등으로 artificial intelligence와 human intelligence를 결합한 인간의 의사결정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. 대부분의 수업은 PBL (Project-Based Learning)으로 진행되고, 대부분의 수업은 영어로 진행함으로써, 글로벌 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.
2. 전공분야
| 전공분야 | 개요 | 
| 데이터사이언스전공 | 기계학습, 딥러닝 등을 주제로 알고리듬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인공지능분야의 수월성을 확보 | 
| 심리뇌과학전공 | 인지과학 등 인간의 의사결정과정과 인공지능의 중첩분야를 연구하여 전문가시스템, 지식추론과정, 언어습득 등 새로운 인공지능개발에 초점 | 
3. 대학원 전임교원명단
| 성명 | 직위 | 학위명 | 전공지도분야 | 연구분야 | 
| 한경식 | 부교수 | 공학박사 | 컴퓨터과학 | 데이터마이닝 | 
| 김형숙 | 교수 | 교육학박사 | 행동과학 | 디지털헬스케어 | 
| 김성신 | 부교수 | 이학박사 | 뇌과학 | 뇌과학, 신경과학 | 
| 임형욱 | 부교수 | 철학박사 | 인지과학 | 인지 및 인지발달, 인지모델링 | 
| 노영태 | 부교수 | 공학박사 | 컴퓨터과학 | 모바일 컴퓨팅 | 
| 김동진 | 조교수 | 공학박사 | 전기및전자공학 | 인공지능 | 
| 김현준 | 조교수 | 공학박사 | 전기컴퓨터공학 | 데이터마이닝 | 
| 김미숙 | 조교수 | 공학박사 | 산업공학 | 자연어처리 | 
| 백성용 | 조교수 | 공학박사 | 전기정보공학 | 인공지능 | 
4. 학과내규
본 내규는 대학원 학칙 및 학칙 시행세칙 또는 공과대학계열 내규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으로 본 과정에 소속된 대학원 학생의 교육 및 연구지도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
1) 전공분야
| 전공분야 | 개요 | ||
| 데이터사이언스전공 | 석사과정 | 박사과정 | 석·박사 통합과정 | 
| 심리뇌과학전공 | 석사과정 | 박사과정 | 석·박사 통합과정 | 
2) 입학
(1) 서류전형 심사에서는 학부과정 및 석사과정 성적표, 자기소개서 및 학업계획서를 평가한다.
(2) 면접시험에서는 전공분야와 관련하여 기본적인 지식수준을 평가한다. 단, 면접이 영어로 진행될 수 있다.
     
3) 이수학점
| 학위과정 | 졸업학점 | 학점구분 | 학점 | 이수구분 | 이수구분별 최소이수학점 | 
| 석사 | 27 | 교과학점 | 22 | 전공 (선택, 필수) | 11 | 
| 연구학점 | 5 | 연구 (선택, 필수) | 5 | ||
| 박사 | 38 | 교과학점 | 34 | 전공 (선택, 필수) | 17 | 
| 연구학점 | 4 | 연구필수 | 4 | ||
| 석박통합 | 59 | 교과학점 | 52 | 전공 (선택, 필수) | 26 | 
| 연구학점 | 7 | 연구 (선택, 필수) | 7 | 
(1) 과정별 최소 이수학점
석사과정 : 27학점(전공 11학점)으로 한다.
박사과정 : 38학점(전공 17학점)으로 한다.
석·박사통합과정 : 59학점(전공 26학점)으로 한다.
4) 필수과목
본 학과에서는 필수과목을 지정하지 않음.
     
5) 선수과목
본 학과에서는 선수과목을 지정하지 않음.
     
6) 종합시험
제1조(응시자격)
다음의 각 호를 충족하는 자는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.
(1) 석사학위과정에서 18학점 이상을 취득하고 선수과목 이수를 완료한 자
(2) 박사학위과정에서 졸업이수학점을 취득하였거나 해당 학기에 취득할 수 있고, 선수과목 이수를 완료한 자
(3) 석˙박사통합과정 6개 학기를 등록한 자로 졸업이수학점을 취득하였거나 해당 학기에 취득할 수 있고, 선수과목 이수를 완료한 자
     
제2조(응시과목 및 시험방식)
종합시험의 세부시행방식은 다음과 같다.
(1) 석사과정
① 종합시험 과목은 전공과목 중에서 3과목으로 한다. (단 1개 과목에 한하여 타과전공과목을 인정할 수 있다)
(2) 박사과정 및 석·박사통합과정
① 종합시험 과목은 전공과목 중에서 4과목으로 한다.
     
제3조(배점 및 합격기준)
종합시험 각 과목은 석˙박사과정 구별 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.
     
제4조(재시험)
(1) 종합시험에 불합격한 자는 재응시하여야 한다.
(2) 석사, 박사, 석˙박사통합과정 학생이 1과목만 불합격한 경우 1과목에 한하여 재응시 가능하고, 불합격한 과목이 2과목 이상이 경우 전과목을 재응시하여야 한다. 재응시할 경우 과목 변경이 가능하다.
     
7) 지도교수 배정 및 역할
(1) 지도교수는 합격 후 학과에서 희망 연구실을 조사하여 이를 최대한 반영하여 지도교수를 배정한다. 학위과정 1기 말까지 지도교수가 배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공주임 교수를 임시 지도교수로 한다.
(2) 지도교수는 학생의 수강신청 및 수강계획 지도, 학점관리, 논문제목 선정 및 논문 작성을 지도한다.
     
8) 논문지도 및 발표, 평가방법
(1) 석사과정
▶ 지도교수의 선정은 대학원 학칙에 준한다. 단, 타과 소속의 교수는 인텔리전스컴퓨팅학과 교수를 지도교수로 하여 공동으로 지도 할 수 있다.
▶ 논문심사위원은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3인으로 한다.
▶ 학위명:공학석사(데이터사이언스전공/심리뇌과학전공)는 수강한 교과목, 수행한 프로젝트, 지도교수의 전공분야를 기반으로 결정한다.
(2) 박사과정 및 석·박사통합과정
① 박사 4학기 이상, 석박통합과정 6기 이상 등록
② 졸업학점을 취득하였거나 해당학기에 취득가능한 자
③ 어학시험 합격자
④ 재학연한이내 : 휴학제외 입학 후 9년 (99학번 이전은 수료 후 7년)
⑤ ‘연구지도1, 2' 이수완료 혹은 해당학기에 이수가능한 자
(인문·사회계열 2009학번~2015학번까지 한해 적용)
(예체능 및 의학계열 2010학번~2015학번까지 한해 적용)
▶ 지도교수의 선정은 대학원 학칙에 준한다. 단, 타과 소속의 교수는 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를 지도교수로 하여 공동으로 지도 할 수 있다.
▶ 논문심사위원은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3인 이상으로 한다.
▶ 외부심사위원은 논문심사위원의 1/3을 초과하여야 한다.
논문심사위원은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3인으로 한다.
▶ 학위명: 공학박사(데이터사이언스전공/심리뇌과학전공)는 수강한 교과목, 수행한 프로젝트, 지도교수의 전공분야를 기반으로 결정한다.
     
8) 석·박사학위 통합과정
석·박사학위 통합과정의 학생에 관한 사항은 대학원의 석사 박사학위 통합과정 운영에 대한 내규를 따른다.
     
9) 시행일
이 변경내규는 2024년 1학기부터 시행한다.